유라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제 2편 - 인류 최초의 문명 유목문화
글과 사진: 이재혁
(사)유라시아 교육원장
유라시아 포럼 회장
【시민시대8-수유라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②】 인류 최초의 문명, 유목문화 - 이재혁 - 인저리타임 (injurytime.kr)

고대 유라시아 평원에 여러분과 같이 서있다고 상상해보자. 우리의 선조들이 집을 짓거나 묘 자리를 정할 때 풍수의 조언을 구했듯이, 유라시아 유목민들도 ‘뭘 좀 아는’ 마을 장로나 집안 어르신의 조언을 따른다. 하늘의 기운과 잘 통하는 바른 풀밭에 중심 기둥을 세우고, ‘보일록’이라는 펠트 천을 나뭇가지들을 따라 두르고, 액운을 물리치는 온갖 성물(聖物), 부적, 장신구, 생활 도구를 천막집 ‘유르타’(중앙아시아) ‘게르’(몽골) ‘춤’(시베리아의 핀란드- 우구르 계, 투르크계 여러 민족의 순록 가죽집)의 안팎에 주렁주렁 걸었다. 생활 주변에서 구한 아름다운 문양과 추상적인 무늬로 가득한 두텁고 화려한 카펫들도 예술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1000년의 지혜를 자랑하는 카자흐스탄의 유르타 건축 기술, 만들기가 여간 까다롭지 않다는 키르기스스탄의 쉬르닥 카펫 제작기술은 모두 유네스코 세계 무형 문화유산에 등재된 인류의 보물들이다. 카펫 제작과 관련한 지식과 기술, 다양성, 장식 패턴을 단숨에 그리고 오려내는 예술적 감수성, 이 모든 것들이 인류가 함께 보존해야할 그런 고급스런 문화유산인 것이다.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 농경민족만 문화민족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언제부터 ‘문명’을 이루고 살았을까. 그 최초의 답은 초원에 있다는 게 공부한 사람들의 일치된 견해가 아닌가 한다. 태초의 문명은 ‘노마드’라고 불리는, 저 떠도는 유목민들 속에서 비로소 처음으로 알을 깨고 이 세상에 나온 것이다. ‘농경민족’ ‘옥토’ ‘세계 4대 문명’ ‘잉여 생산과 계급투쟁’ ‘약탈 경제’ ‘문화 예술의 발달’ 이런 건 훨씬 후대의 일이다. 추위와 배고픔 그리고 한없는 기다림 속에서 사냥이 어디 쉬운 일인가. 그래서 야생의 동물들 새끼를 몰래 훔치거나 주워 와서 손쉽게 고기를 얻고 털을 얻었다. 그것이 디지털 리터러시, 핸드폰 혁명, 제4차 산업, AI 등으로 이어질지 그때 그들이 어떻게 상상이나 할 수 있었겠는가.
사람이 언제부터 동물을 길들이며 살았는지 설이 분분하다. 이 수수께끼에 대해 러시아 포털 사이트 <얀덱스>는 이렇게 잘라 말한다.“개는 1만 년 전인 신석기 시대에, 염소와 양과 돼지와 소와 말은 대략 5천 년 전에, 낙타와 고양이와 닭과 오리는 3천~4 천 년 전에 우리 곁에 와서 우리의 가축이 되었다”. 믿거나 말거나이다. <삼국유사>에서 밝힌 대로, 환인의 아들 환웅이 아버지로부터 천부인(天符印) 3개를 받아 무리 3천을 이끌고 태백산 아래의 신단수로 강림한 사건이 5천 년 전에 벌어진 게 맞는다면, 이 시기에 우리 조상들은 겨우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알았을 것이고 닭백숙이나 오리 불고기는 아예 상상조차 못했을 것이다.
다시 유목민 이야기로 돌아가보면, 그들은 한곳에 정착한 삶을 살 수 없었고 가축을 방목하기 위하여 항상 목초지를 찾아다녀야 했다. 지금도 그들의 삶은 바뀐 게 없다고 한다. 예부터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그들은 초원과 반사막지대 그리고 숲을 헤치며 끊임없이 이동하고 이동할 것이다. 사실, 지금이야 유목민 숫자가 전 세계적으로 3천만~4천만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지만, 고대엔 인류의 60%이상이 이런 유목 생활을 했다고 한다. 삶의 현장이 초원이다 보니 초원에 적응하고 초원을 가공하면서 문명을 꽃피울 수밖에 없었다. 학자에 따라 견해가 다양하지만 한민족의 시원(始原)지 또한 알타이 산맥과 알타이 초원이라고 보는 사람들이 많다. ‘알타이’는 몽골어로 ‘햇빛이 비치면 산비탈이 황금색으로 변하는 산’, 투르크 어로는 ‘6개의 산’이라는 뜻인데, 몽골-서부 시베리아 –카자흐스탄 사이에 있다. 서울에서 비행기를 타고 6시간 정도 가면 러시아 시